통제의 목소리에서 나를 분리하는 일
내 안의 경찰서장: 통제의 목소리에서 나를 분리하는 일
김재희 소장 · 힐링윙즈 심리상담연구소
“꿈속에서 경찰서장인 아버지가 무섭게 화를 내며 내 두 손을 묶었어요.
나는 벌벌 떨며 도망치고 싶었지만, 움직일 수가 없었어요.”
– Fraser Boa, 『융학파의 꿈해석』 중
이 여성의 실제 아버지는 경찰이 아니었다.
그러나 꿈에 나타난 경찰서장은 그녀의 무의식 속에서 분노와 통제의 상징으로 등장했다.
현실의 그녀는 **‘좋은 엄마’, ‘현명한 아내’, ‘책임감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 스스로를 늘 단속하며 살아간다.
그러나 가족과 아이들이 자신의 기준대로 움직이지 않을 때,
그녀는 점점 불안하고, 분노하고, 자책하는 사람이 되어간다.
여성의 내면에 자리한 남성성, 아니무스
융 분석심리학에 따르면 여성의 무의식 안에는 **남성적 원형인 아니무스(Animus)**가 존재한다.
아니무스는 원래 판단력, 논리성, 방향성, 내면의 기준을 상징하며,
여성의 심리적 구조 안에서 사고력과 자기확신의 기반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아니무스가 부정적으로 형성될 경우,
그 목소리는 점점 명령하고 비난하고 통제하는 내면의 비판자로 작동한다.
꿈속 경찰서장은 바로 그런 왜곡된 아니무스의 형상이었다.
그녀의 내면 어딘가에는
“그건 네가 잘못한 거야”, “다 너 때문이야”라고 말하던 까다롭고 판단적인 부성 이미지가 각인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감정보다 기준이 우선이었던 환경에서 자라난 여성은,
자신의 감정보다 ‘옳음’에 집착하게 되고,
결국 자신도 자신을 통제하고 비난하는 사람이 되어버린다.
내 안의 ‘경찰서장’에게서 나를 분리하는 일
이러한 아니무스는 삶 속에서
✔ 타인을 향해선 논쟁, 통제, 고집스러움으로,
✔ 자신을 향해선 과도한 자기비판, 수치심, 완벽주의로 나타난다.
이 목소리와 나 자신을 분리해내는 작업이 바로 심리상담의 핵심이다.
그녀는 상담을 통해
“나는 왜 늘 내 기준이 옳아야만 했는가?”를 묻기 시작했다.
‘좋은 사람’이라는 정체성 뒤에 감춰져 있던
불안, 인정 욕구, 억울함, 혼란스러움 같은 감정들이 비로소 말해지기 시작한 순간이었다.
나는 지금도 충분히 괜찮은 사람이다
‘좋은 엄마가 되어야 해’
‘실수하면 안 돼’
‘내가 틀리면 안 돼’라는 내면의 외침은,
때로는 자신을 보호하기보다 자신을 갉아먹는 칼날이 된다.
그 목소리가 정말 ‘내가 원하는 것’이 맞을까?
그건 누군가 오래전 나에게 심어준 기준의 목소리는 아니었을까?
좋은 사람이 되려 애쓰기보다,
지금 이 순간의 나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길이
더 진실한 치유의 시작일 수 있다.
📍 힐링윙즈 심리상담연구소는 여성의 무의식, 아니무스 구조, 내면 비판자 작업을 전문적으로 다룹니다.
자기 이해, 감정 통합, 관계 회복을 위한 안전한 공간에서
진짜 나로 회복되는 여정을 함께하겠습니다. 🌿
"유아 아동 청소년 성인 부부 외국인(영어)"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213 금강베네치아 311호
문의 전화/문자 : 0507-1336-3926
블로그 m.blog.naver.com/healingwings
Instagram : sejong_healingwings
e-mail : healingwings@naver.com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