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놀이치료 전문가를 위한 책 - 영혼이 물질을 만났을 때 (분석심리학적 모래놀이치료)

<서지 정보> 책 제목 : 영혼이 물질을 만났을 때 (융 분석심리학적 모래놀이치료의 두 가지 적용 : 개인과 사회) 원 제 : Where Soul Meets Matter: Clinical and Social Applications of Jungian Sandplay Therapy ISBN : 979-11-987207-2-6 (93180) 정가 : 18,500원 발행일: 2024년 8월 30일 저자 : 에바 패티스 조자(Eva Pattis Zoja) 역자 : 김재희 책 사이즈 : 13.5(가로), 21.5(세로), 14.7(책등 두께) 총 페이지 수 : 252 <판매처> 하단 인터넷 서점 링크 클릭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51206735619?query=%EC%98%81%ED%98%BC%EC%9D%B4%EB%AC%BC%EC%A7%88%EC%9D%84%EB%A7%8C%EB%82%AC%EC%9D%84%EB%95%8C&NaPm=ct%3Dmcneinfs%7Cci%3Da1ab4b8651d89fa93592089f7e3d7910522ebe33%7Ctr%3Dboksl%7Csn%3D95694%7Chk%3Dc43d653d5d46cf4c6381fc800d47d8145eeffac4 알라딘 -영혼이 물질을 만났을 때 교보문고- 영혼이 물질을 만났을 때 | 에바 패티스 조자 예스24- 영혼이 물질을 만났을 때 <책 소개> 이 책의 주제는 표현을 위한 자유롭고 보호된 공 간이 제공되자마자 이미지와 내러티브를 만들며, 자기를 조절하는 힘을 발휘하는 정신의 놀라운 능력과 결단력이다. 이는 불리한 경험으로 어려움을 겪는 개인(어린이와 성인)뿐만 아니라 삶에서 더 깊은 의미를 찾는 사람들에게도 해당된다. 정신의 자기 조절 능력은 모래놀이치료에서 분명하게 드러나고 체험된다. 나는 이 책에서 20년에 걸쳐 개발한 두 가지 모래놀이 적용 방식을 소개할 것이다. 이 두 가지 방식은 각기 다른 ...

통제의 목소리에서 나를 분리하는 일

  내 안의 경찰서장: 통제의 목소리에서 나를 분리하는 일 김재희 소장 · 힐링윙즈 심리상담연구소 “꿈속에서 경찰서장인 아버지가 무섭게 화를 내며 내 두 손을 묶었어요. 나는 벌벌 떨며 도망치고 싶었지만, 움직일 수가 없었어요.” – Fraser Boa, 『융학파의 꿈해석』 중 이 여성의 실제 아버지는 경찰이 아니었다. 그러나 꿈에 나타난 경찰서장은 그녀의 무의식 속에서 분노와 통제의 상징 으로 등장했다. 현실의 그녀는 **‘좋은 엄마’, ‘현명한 아내’, ‘책임감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 스스로를 늘 단속하며 살아간다. 그러나 가족과 아이들이 자신의 기준대로 움직이지 않을 때, 그녀는 점점 불안하고, 분노하고, 자책하는 사람 이 되어간다. 여성의 내면에 자리한 남성성, 아니무스 융 분석심리학에 따르면 여성의 무의식 안에는 **남성적 원형인 아니무스(Animus)**가 존재한다. 아니무스는 원래 판단력, 논리성, 방향성, 내면의 기준 을 상징하며, 여성의 심리적 구조 안에서 사고력과 자기확신의 기반 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아니무스가 부정적으로 형성될 경우, 그 목소리는 점점 명령하고 비난하고 통제하는 내면의 비판자 로 작동한다. 꿈속 경찰서장은 바로 그런 왜곡된 아니무스의 형상 이었다. 그녀의 내면 어딘가에는 “그건 네가 잘못한 거야”, “다 너 때문이야”라고 말하던 까다롭고 판단적인 부성 이미지 가 각인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감정보다 기준이 우선이었던 환경에서 자라난 여성은, 자신의 감정보다 ‘옳음’에 집착하게 되고, 결국 자신도 자신을 통제하고 비난하는 사람이 되어버린다. 내 안의 ‘경찰서장’에게서 나를 분리하는 일 이러한 아니무스는 삶 속에서 ✔ 타인을 향해선 논쟁, 통제, 고집스러움 으로, ✔ 자신을 향해선 과도한 자기비판, 수치심, 완벽주의 로 나타난다. 이 목소리와 나 자신을 분리해내는 작업 이 바로 심리상담의 핵심이다. 그녀는 상담을 통해 “나는 왜 늘 내 기준이 옳아야만...

“펭귄이 살던 겨울을 지나, 정원이 되기까지” – 모래놀이치료에서 피어난 아동의 마음의 봄 [세종시심리상담, 힐링윙즈]

  “펭귄이 살던 겨울을 지나, 정원이 되기까지” – 모래놀이치료에서 피어난 아동의 마음의 봄 🧸 모래놀이치료, 말하지 않아도 말하고 있는 아이들 모래놀이치료를 진행하는 동안, 한 아동은 두 달에 걸쳐 매주 북극, 이글루, 펭귄, 겨울, 눈사람 등으로 이루어진 추운 환경의 세상 을 만들었습니다. 아이는 말로 표현하지 않았지만, 자신을 펭귄처럼 느끼기도 했고, 때로는 녹지도 못하는 눈사람처럼 여겼던 것 같습니다. 그 아이의 마음은 꽁꽁 얼어 있었고, 세상과 관계 맺는 감정의 온도는 북극에 가까웠습니다. 🔥 작은 모닥불 하나에서 시작된 마음의 해빙 그러던 어느 날, 차가운 세계 안에 작은 모닥불 이 등장했습니다. 그것은 단지 장난감 소품이 아니라, 아동의 무의식이 변화하고 있다는 첫 번째 신호 였습니다. 조용하지만 분명하게, 마음의 얼음이 녹기 시작했습니다. 🌱 그리고 펼쳐진 초록의 정원 그리고 마침내, 지난주 모래상자 안에는 전혀 다른 풍경이 펼쳐졌습니다. 푸르른 초록으로 가득한 정원 . 꽃, 나무, 풀, 새들이 가득한 공간. 이제 아동의 내면에는 따뜻하고 생명력 있는 봄이 찾아온 것 입니다. 🧠 말없는 고집의 뿌리는 ‘정서적 겨울’이었다 아이는 평소에도 종종 말을 하지 않거나, 고집을 부리며 마음을 닫곤 했습니다. 부모는 그 이유를 몰라 힘들어했지만, 이 모든 행동은 사실 '마음의 추운 계절' 때문이었습니다. 아이가 느끼던 고립감, 표현되지 못한 감정, 억압된 본능들이 모래 상자 속에서 ‘상징’의 형태로 드러난 것입니다. 🐧 펭귄과 눈사람에서, 새와 동물들로 이제 아동은 펭귄과 눈사람이 아닌, 정원 속에서 다양한 동물들과 생명을 키워갑니다. 이 변화는 단지 ‘놀이’가 아니라, 억눌린 본능과 감정이 복원되고 있다는 깊은 심리적 신호 입니다. 아동은 점점 더 밝아지고, 내면의 힘도 강해지고 있습니다. 말없이 고집으로 표현하던 마음도 이제는 언어와 상호작용으로 표현될 준비를 마쳤...

나르시시즘 & 강박성 배우자 – 피해자와 가족이 겪는 심리 역동

  나르시시즘 & 강박성 배우자 – 피해자와 가족이 겪는 심리 역동 “내가 너무 예민한 걸까요?” – 피해자들이 가장 많이 묻는 말 심리 상담실에서 반복적으로 듣게 되는 이 질문. 그러나 정답은 언제나 "당신은 예민한 게 아니라, 지친 겁니다." 🚩 가해 배우자의 성격적 경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성격 유형 특징 결과 나르시시즘(NPD) 자기중심성, 감정이입 결여, 비난과 조종 배우자의 자존감 파괴, 무력감 지속 강박성 성격장애(OCPD) 지나친 규칙·통제 집착, 완벽주의 감정 억압, 불신, 관계 피로 누적 👩 피해자들이 보이는 모습은? 심리상태 가족 내 행동 자기무가치감 “내가 문제인가요?” 단호하지 못함 자녀 훈육이 약해짐, 경계 설정 실패 감정 억제 조용히 참음, 갈등 회피 주도권 상실 자녀가 가정의 결정권을 가지게 됨 🧠 가족은 어떻게 무너지는가? 가해자와의 관계 속에서 피해자는 자기 확신을 잃고 , 그 결과 가족 전체의 힘의 균형이 무너지기 시작 합니다. 시스템 붕괴 요소 결과 모호한 권력 구조 자녀가 부모화됨(역기능 역할) 훈육 약화 아이가 통제력을 가지며 ‘작은 가해자’처럼 행동 감정 단절 감정적 교류가 사라짐, 가족의 정서온도 저하 🧬 대상관계 & 분석심리학적 관점 대상관계이론 피해자는 유년기 조종적 또는 거부적 대상과 유사한 인물을 반복 그 결과 가해자에게 “익숙한 고통”을 무의식적으로 허용 하게 됨 분석심리학 피해자 안엔 이미 **“내면화된 비난자(그림자 or Superego)”**가 존재 외부 가해자는 내면의 그림자와 결합하여 자기비난의 고리를 강화 시킴 🌱 회복은 ‘내면의 대상을 재구성’하는 일에서 시작됩니다 자기의 감정이 정당하다는 것을 깊이 이해할 때 , 자녀를 위한 건강한 권위와 단호함 도 자연스럽게 생깁니다. 🕊️ 힐링윙즈 심리상담센터의 도움 🌿 피해자의 자기통합을 위한 개별 분석상담 👨‍👩‍👧 자녀 훈육 ...